본문 바로가기

이장희 개척유화

(14)
유화기법 강의자료10 유화기법 강의자료 10 - - - 초상화 그리기 - Stage1. 젊은 여성(친구를) 모델로 1) 모델이 편할 수 있도록 음악을 튼 후 준비한 캔버스 위에 붓으로 아웃 라인을 그린다. 그녀의 이목구비, 그녀의 긴 머리가 어떻게 떨어지는지 표시한다.(바탕색은 피부색, 짙은 달걀색 정도) 2) 이제 옅은 색으로 스웨터를, 어두운 색으로 머리를 칠한다. 배경과 얼굴 색조는 비슷하지만 배경에 비해 훨씬 따뜻한 색이 되게 한다. 3) 다음은 옷에 있는 주름, 머리카락 등 그녀의 특징을 묘사한다. 이 단계에서는 색의 풍부한 톤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며 그다음 눈, 코, 입 등의 세부적 형태를 탐구하는 것이다. 4) 이제 어느 정도 초상화가 그려지면 더는 수정이 필요하지 않을 때까지 각각의 세부 묘사를 해야 한다...
유화기법 강의자료 9 유화기법 강의자료 9 - - 1. 주제로서의 정물 연습은 유화작품을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이다. 한 가지 정물만으로도 색채대비, 명암, 형태, 구도를 연습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주위의 사물을 놓고 자신의 상상력과 기술,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가. 정물의 배치: 자신의 기호에 맞는 물체를 멋지게 늘어놓는 것이 중요하다. 1)색상: 물체와 뒤의 배경, 바닥의 색상과 명도, 보색관계를 고려하자. 2)조명: 공간배치와 조명의 강약, 빛의 방향을 잘 선택해야 한다. 왼쪽 비스듬히-무난함. 3)구도: 타원형, 삼각형, 마름모형 구도. 사물간의 리듬, 운동감, 그림자와의 관계 고려. 4)구성: 다양한 물체와 보는 시점을 어떻게 연결해 바라보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보통은 약간 위에서 그리지만 정면이나 위에서 바..
유화기법 강의자료 8 유화기법 강의자료 8 -〈명암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기술〉- 1. 그림에서 명암의 의미 우리는 사물을 인식할 때 색보다 명암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흑백영화 참조) 2. 명암 단순하게, 색 변화는 풍부하게 가. 입체 표현에 대한 집착은 사물의 명암 단계를 과도하게 포착하고 과장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또 사물을 주변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것을 방해하기도 한다. 명암을 세밀하게 표현하지 않고 색으로 해석해 강조함으로서 경직된 입체감을 피하면서 강렬한 색감이 매력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나. 입체감, 공간감마저 포기함으로써 다채로운 색 표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입체감 공간감을 생략함으로써 개성 있는 붓질과 배경색의 매력을 살리는 그림을 표현할 수 있다. 3. 하이라이트를 절제하라 하이라이트 묘..
유화기법 강의자료 7 유화기법 강의자료 7 -〈유화를 그릴 때 조심할 사항〉- a' 두 번째 칠 A B b'■ b'■ b' **** 첫 번째 칠 **** **** 첫번째 칠**** ///////////////////////////////////////////// 바탕 ////////////////////////////////////////////1. ‘팻 오버 란’ 원칙 지키기 - 팻(fat)은 오일의 함량이 높은 물감을 의미하고, 린(lean)은 희석액으로 희석한 오일 함량이 낮은 물감을 뜻함. 유화에서 팻 오버 린(fat over lean)은 그림에서처럼 위에 겹쳐 칠하는 물감일수록 오일 함량이 높아야 한다는 것으로 유화의 기본적인 채색 원칙이다. 만약 이것을 지키지 않으면 B에서 보듯이 위에 칠한 것이 마치 튼 것처럼 ..
유화기법 강의자료 6 유화기법 강의자료 6 -〈 수채화, 유화의 채색법을 중심으로 〉- 1. 무엇을 표현할까?- 화가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느냐에 따라 그림이 달라지고 느낌이 다르다. 그래서 분명한 의도를 가지고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마음을 사로잡는 무엇-독특한 생김새, 추억, 상상을 자극하는 형태나 색, 분위기 등 자신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 표현하고 싶은 것이 뭔지 찾아보라. 찾았다면 그것이 바로 자신이 그리고자 하는 것이다. . 2. 스케치는 설계도- 대략적인 계획이 담겨야 한다. 강조, 생략, 빛의 방향, 강약, 윤곽선 드러내고 감추기, 하이라이트, 예상 밖의 우연성도 잘 활용한다. 3. 채색의 2원칙, 일반적 순서- 가. 대략적인 것 먼저, 점차 세부적으로(모든 부분 비..
유화기법 강의자료5 유화기법 강의자료 5 -〈 유화붓 이외의 재료와 도구들 〉- 1. 페인팅 작업복, 오버올 또는 앞치마- 오버올(overall): 막일을 할 때 입는 일복, 아래위가 한데 붙은 작업복. 의사, 실험자, 상인 들이 옷 위에 덧입는 긴 작업복. 2. 깨끗한 헝겊, 키친타월-(낡은 수건, 면 셔츠, 러닝 ) 3. 말스틱(the Mahlstick)- 그림을 그리면서 섬세한 묘사가 필요할 때, 특히 손이 미끄러지거나 떨리지 않도록 도움 준다.(가죽, 천으로 감싼 국기봉 형태) 4. 마스킹 테이프(Maskingtape)- 기하학적 추사화 그릴 때와 같이 명확한 선을 그리고 싶을 때 사용한다. 테이프 가장자리를 꾹 눌러주고 그 경계부분이 꽉 찰 때까지 물감을 칠한다. 마른 후(손으로 만져보아 말랐으면 충분) 떼어낸다...
유화기법 강의자료4 유화기법 강의자료 4 유화의 재료 유화 그림은 일반 유화 붓만으로도 가능하다. 좀 더 부드러운 붓은 세부묘사나 붓 자국을 제거할 때 유용하다. 그림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싶으면 붓이 여러 개 필요하다. 차차 늘려 가면 된다. 1. 붓 (1) 붓의 종류 가. 짧고 빳빳한 털로 만들어진 붓(Bristle Brushes) : 이 붓들은 대부분 돼지털로 만들어진다. 좀 더 부드러운 인조 털의 붓도 있고 유형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나. 납작붓(Flats) 납작한 붓들은 장식가의 정련된 붓처럼 납작하게 만든 붓이다. 이 붓들이 물감을 잘 흡수하고, 넓은 표면과 가장자리로 붓 자국을 달리하며 편리하게 붓질을 할 수 있어서 주로 많이 쓰인다. 20호(벽화를 그리지 않는 이상 당신이 필요한 가장 큰 붓일 것이다.) 12..
유화기법 강의자료3 유화기법 강의자료3 1)수정작업 유화작업의 장점 중의 하나는 그림 전체나 부분적인 수정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알라프리마 그림에서는 젖은 물감을 팔레트 나이프로 긁어내고 그 부분을 간단히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긁은 물감 아래에 자국이 희미하게 남아서 수정할 때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화이트스피리트(패트롤)를 묻힌 천으로 지워버릴 수도 있다. 물감이 너무 많이 쌓여 더 이상 그릴 수가 없을 때에는 압지를 이용하여 그림의 제일 윗면의 물감을 덜어낼 수 있다.(닦아내기) 물감이 아주 많이 쌓여진 그림이라면, 약간의 린시드오일(아니면 지금 사용하고 있는 다른 용매라도 상관없다.)을 묻혀서 그림을 더 그리기 전에 이미 건조된 부분에 문지르는 것으로 이후의 수정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이것이 오일링 아웃(oi..